Start a Conversation

해결되지 않음

이 게시글은 5년 이상 된 게시글입니다.

Closed

P

1 Rookie

 • 

63 Posts

901

September 3rd, 2008 02:00

윈도우 용어들

Microsoft사의 OS 시리즈 명.

버전 1.0은 1986년에 발매되어, 1992년에 발매된 Windows 3.1이 PC/AT 호환기용 표준 OS로서 폭발적으로 보급 되었다.

 

3.1까지는 MS-DOS에 GUI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확장 소프트웨어 였으나, Windows 3.1의 후속으로 1995년에 발매 된 Windows 95부터는 독립 된 OS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1998년에는 Windows 95의 후속 버전인 Windows 98이 발매되어(그 후 더욱 버전 업 한 Windows ME가 발대 되었다), PC용 표준 OS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했다.

 

한편, 1993년부터 발매하기 시작 한 Windows NT 시리즈는 네트워크 서버 용도를 전제로 무 상태에서 개발 된 Windows 3.x/9x와는 기본적인 구조가 완전히 다른 OS 계열이다. 순수 32비트 OS로서, Windows9x와 비교해서 비약적으로 높은 안정성과 뛰어난 퍼포먼스, 고도의 세큐리티 기능을 갖추고 있다.

 

Windows NT와 Windows 9x는 Win32라는 공통의 API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Windows 9x에서 작동하는 많은 어플리케이션소프트는 그대로 Windows NT에서도 작동한다.

 

Windows NT 계열의 OS는 서버, 워크 스테이션, 하이엔드 PC 용으로 개발 된 Windows 2000으로부터 Windows 9x 계열의 기능을 충분히 도입하여, 그 후속에 해당 하는 Windows XP에서는 가정용 PC 용으로도 NT 베이스 시스템을 채택하여, x86 컴퓨터 용의 모든 계열이 NT베이스로 치환되었다. 그 결과, 현재는 Windows 95/98/Me에서 쓰고 있는 9x 커넬 베이스 제품은 거의 존재 하지 않는다.

 

 

FAT32

읽기 : 에프에이티32

 

스펠 : File Allocation Table 32

 

Windows95 OSR 2.0 이후 버전이나 Windows 98/ME에 사용 되는 파일 시스템. 디스크를 2의32승(약 42억)의 작은 단위로 분할하여 관리한다. 최대 2TB의 영역을 관리 할 수 있다. FAT16으로도 관리 할 수 있는 2GB이하 용량의 디스크를 FAT32로 관리하면, 관리 효율이 뛰어나 무용한 영역이 줄어드므로, 디스크를 유효하게 이용 할 수 있다. FAT32는 주로 Windows 98/ME에서 사용되지만, Window 2000/XP 등으로도 사용 가능하다.(Windows NT에서는 사용 불가)

 

 

NTFS

읽기 : 엔티에프에스

 

스펠 : NT File System

 

Microsoft사의 OS 인 Windows NT/2000/XP에 이용되는 파일 시스템. NTFS는 여러 유저가 억세스 하는 서버에서의 운용을 염두에 두고 설계 되었으며, MS-DOS, Windows 95 등의 FAT/FAT32 파일 시스템에는 없는 어카운트(계정) 마다 억세스권을 설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Windows 2000이후에 쓰여지고 있는 NTFS(NTFS 5나 NTFS 2000이라 불리는 것)는 저널링 파일 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게 되었으며, 갑자기 정전이 일어났을 경우에 데이터가 분실 될 가능성이 억제 되었다. 더욱이 Windows 2000의 NTFS는 파일시스템 레벨에서 암호화 등이 가능해 졌다.

 

 

Windows Vista

읽기 : 윈도우즈 비스타

 

Microsoft사가 5년만에 발매하는 컴퓨터용의 새로운 OS이다. Microsoft사의 [Windows XP]의 후속제품이다. 기업용 볼륨 라이센스의 배포가 11월30일, 소매점 판매 및 PC로의 탑재는 2007년1월30일 부터 시작 될 예정이다. 전세계에 모두 8종류의 에디션이 준비되어 있으며, 일본에는 5종류의 에디션이 발매되며 각각 32비트판과 64비트판이 준비 된다.

 

 

Windows XP에 비해 여러 신기능이 준비되어 있다. 윈도우를 투과 시키거나 3D로 관리할 수 있는 [Windows Aero], 인터넷 접속 설정이나 사용자 계정의 작성 등, 초기 설정이 수납 된 [웰컴 센터], 여러 단계로의 백업과 복원을 하여, 하드웨어의 장애나 유저의 실수에 의한 문제로 부터 데이터를 보호하는 [Windows 백업], 데스크탑에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Windows 사이드바]나 [Windows Vista 가젯] 등이 있다. 이 밖에, 최근에 막 공개 된 Windows Defender나 Internet Explorer 7 등도 표준 탑재되어 있다.

 

 

최저 시스템 요구사양은 800MHz의 CPU, 512MB 이상의 메인 메모리, 20GB의 하드디스크 정도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Vista의 신기능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 이상의 사양과 고성능의 그래픽 기능이 요구된다. 시스템의 프로퍼티에서는 컴퓨터의 작동적정을 진단하여, 최저 시스템 사양을 1.0으로 하고, 최대 5.0까지의 수치로 각종 성능을 평가하는 벤치마크도 도입되어 있다.

 

 

Windows Defender 

읽기 : 윈도우즈 디펜더

 

Microsoft사가 자사의 Windows시리즈 OS전용으로 제공하고 있는 스파이웨어 검출/삭제 소프트웨어이다. 2006년10월에 정식으로 공개 되었다. 대응하는 OS는 Windows XP SP2와 Windows Server 2003 SP1이며, Microsoft의 Web사이트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Windows Vista에는 표준으로 탑재될 예정이다.

 

 

Windows Defender는 Microsoft사가 발행하는 스파이웨어의 패턴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정기적으로 입수하여, 유저가 스파이웨어를 다운로드하려는 순간 실시간으로 이를 검출하여 방지한다. 또한, 하드디스크 등에 보존되 있는 스파이웨어를 스캔하여, 유저에게 삭제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기능도 있다. 스파이웨어의 검출/삭제에 특화되 있기 때문에, 컴퓨터 바이러스에는 대응하지 못한다.

 

 

Windows Defender는 서비스로서 작동하기 때문에, 인스톨 한 후에는 유저가 특별히 의식하지 않고 컴퓨터가 부팅 되었을때 자동으로 작동한다. 또한 컴퓨터 관리자나 프로그램을 인스톨한 유저가 아니더라도, 컴퓨터를 이용하는 모든 유저가 Windows Defender에 의해 보호를 받을 수 있다.

 

 

 

Windows DNA 

읽기 : 윈도우즈 디엔에이

 

스펠 : Windows Distributed interNet Application

 

Microsoft사가 제창하고 있으며, 인터넷 표준기술을 Windows에 통합하여 어플리케이션 소프트를 개발하기 위한 골자를 말한다. Microsoft가 제창하고 있는 여러 개별 기술과 그것들을 연결 시키는 규약의 집합으로서 실현된다. COM++ 를 기반으로 하는 분산오브젝트 환경과 HTML을 기반으로 하는 WWW 환경의 통합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COM

읽기 : 콤

 

스펠 : Component Object Model

 

Microsoft사가 제창하고 있으며, 부품화 된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이용하기 위한 기반 기술사양이다. 특정 기능만을 가진 프로그램을 여러개 조합하여 어플리케이션 소프트를 개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러한 기술사양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프로그램 부품을 COM+컴퍼넌트 라고 한다. COM+컴퍼넌트는 개발에 사용한 언어나 컴퍼넌트가 수납되 있는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어떤 언어로도, 어디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상에 있는 COM+컴퍼넌트를 이용하는 기술을 DCOM이라고 한다. 이들 기술은 Windows 뿐만 아니라, UNIX나 Mac OS에도 이식 되고있다. 컴퍼넌트 개발이 더욱 편리 해지도록 개량이 가해진 차세대 COM++ 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며, Windows DNA의 중핵기술로 기대되고 있다.

 

 

 

COM+

읽기 : 콤 플러스

 

스펠 : Component Object Model plus

 

Microsoft사가 제창하고 있으며, 부품화 된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이용하기 위한 기반 기술사양이다. COM을 한층 발전 시킨 것이다. 이제까지 각각의 COM컴퍼넌트가 실장하고 있던 기능 중에서, 메모리 관리와 같은 공통화가 가능한 것을 COM런타임 으로서 OS에 통합하여, 컴퍼넌트 개발을 보다 용이하게 하였다. Microsoft가 제창하고 있는 Windows DNA의 중핵기술로 Windows 2000에 제공될 예정이다.

 

 

.NET

읽기 : 닷넷

 

별칭 : 마이크로소프트 .NET

 

Microsoft사가 2000년 7월에 발표한 네트워크 베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작동 환경을 제공하는 시스템 기반이다. 자사의 [Windows DNA] 전략을 보다 진화 시킨것이다.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 상에 산재하고 있던 어플리케이션이 자신의 기능을 [서비스]로서 공개하여, 각종 단말에서 이용 하는데 기반이 되는 소프트웨어나 기술언어/프로토콜 등의 규약의 집합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NET]에 대응하는 단말은 Java 가상머신과 같은 소프트웨어 작동 환경이 탑재되어, OS의 종류에 관계없이 서비스를 받을수 있다.

 

 

작동화경이 되는 기반 소프트웨어는 휴대전화나 PDA와 같은 소형 컴퓨터용에서 PC나 서버등의 고성능 컴퓨터용 까지 OS나 기종에 관계없이 폭 넓게 준비되어 있으며, 여러 언어로 개발 된 서비스를 호출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각 서비스는 네트워크 상의 다른 서비스와 연계가 가능하며, 단기능의 서비스를 여러개 연결시켜 대규모 서비스를 구축할 수도 있다.

 

 

Windows용 기반 소프트웨어로는 Microsoft에서 [Microsoft .NET Framework]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 안에서 각종 .NET대응서비스/소프트웨어를 이용 가능하다. 또한, 자사의 포털 사이트인 [MSN]에서는 .NET의 선구가 되는 재이용 가능한 서비스의 제공을 시작하였으며, 서비스 이용자의 개인정보 관리나 인증을 하는 [Passport] 서비스 등이 이용 가능하다.

 

 

어플리케이션의 기술언어는 정해지지 않았으며, 기존의 C++sk Visual Basic, VBScript, Jscript에 Microsoft가 새롭게 개발한 [C#] 언어 등이 이용 가능하다. .NET에 대응하는 언어는 명칭 끝에 [.NET]이 붙으며, Visual Basic .NET 처럼 기본의 버전과는 기술법 등이 대폭 변경 된 언어도 있다. 또한, 서드파티의 의해 기존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NET에 대응 시킨 개발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No Responses!
이벤트를 찾을 수 없습니다!

Top